다모아...

촌수와 호칭(펌)

그래나야 2006. 2. 13. 21:21
친족간에 호칭(呼稱)과 촌수(寸數)

* 촌수란?
→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이다.

* 촌수 계산법
→ 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사이의 관계를 1촌으로 계산한다.
형제자매와 나의 촌수는 부모와 자식이기에 나와 부모간의 1촌과
부모와 나의 형제자매까지의 1촌을 합하여 2촌 관계이다.
따라서 직계(直系)는 1촌씩 더해지며 방계(傍系)는 2촌씩 더해진다.

* 호칭의 주요 용어 설명
1) 고모의 자녀는 호칭 앞에 내(內)자를 붙인다.

2) 2촌과 3촌은 고유명사로 쓰인다.

3) 종(從)자가 붙은 종조 할아버지는 할아버지의 친형제로서 나와 방계
4촌지간이라서 붙은 것임.

4) 종(從) - 4~5촌
재종(再從) - 6~7촌
삼종(三從) - 8~9촌
사종(四從) - 10~11촌
방계혈족에 붙이는 촌수 칭 접두사로 항렬과는 무관하게 사용된다.

5) 백부(伯父) - 큰 아버지(아버지의 큰형)
중부(中父) - 큰 아버지(아버지의 중형)
숙부(淑父) - 작은 아버지

6) 종조부 - 할아버지의 형제를 가리키며 편의상 큰 종조부(큰 할아버지)
작은 종조부(작은 할아버지)라고 부른다.

7) 종 증조부 : 증조 할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가리킨다.

8) 종 고조 : 고조 할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가리킨다.

※ 가족의 범위 : 8촌 이내의 부계 혈족, 4촌 이내의 모계 혈족,
아내의 부모.
즉 친가(親家) , 외가(外家) , 처가(妻家)=시가(媤家)

※친족 : 촌수가 가까운 한 핏줄로 배우자, 혈족, 인척등을 통틀어
이르는 말.
즉 배우자 및 8촌 이내의 부계혈족,
4촌 이내의 모계혈족, 남편의 4촌 이내의 모계혈족,
아내의 부모 등을 지칭함.
그러나 엄격한 의미에서의 친족은 고조 할아버지 이하의 조상을 직계
할아버지로 하는 혈족과 그 배우자를 말하며 근친(近親)이라 한다.

9) 祖 - 할아버지, 淑(아재비 숙) - 작은 아버지,
兄 - 형, 姪(조카 질) - 조카,
孫(손자 손) - 손자, 甥姪(생질) - 누이의 아들,
子婦(자부) - 며느리, 壻(사위서) - 사위.
妹夫(매부) - 누나의 남편 , 妹弟(매제) - 여동생의 남편
南 漢 優 書